마비노기모바일을 PC에서 플레이할 때, 렉이 걸리거나 프레임이 뚝뚝 끊기면 정말 짜증나죠. 저도 처음엔 아무 설정 없이 실행했다가 전투 중 끊김 현상 때문에 멘탈이 탈탈… 그 이후로 설정을 하나씩 만져보다가 드디어 '쾌적한 플레이' 세팅을 찾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마비노기모바일을 PC에서 좀 더 부드럽고 빠르게 돌릴 수 있는 Boot.config 설정법을 공유드릴게요. 어렵지 않으니 천천히 따라 해보세요.
Boot.config 위치 찾기
먼저 수정할 파일부터 찾아야겠죠.
- 마비노기모바일이 설치된 폴더로 이동
Boot.config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기
해당 파일은 게임 구동 관련 옵션들이 모여 있는 설정파일이에요. 여기서 불필요한 렌더링 옵션을 꺼주고, CPU 자원 활용을 조절해주면 성능이 꽤나 개선됩니다.
기본 최적화 설정값
아래와 같은 설정을 붙여넣으면 대부분의 환경에서 성능 향상을 느낄 수 있어요.
gfx-enable-gfx-jobs=1
gfx-enable-native-gfx-jobs=1
gfx-disable-mt-rendering=1
wait-for-native-debugger=0
vr-enabled=0
hdr-display-enabled=0
gc-max-time-slice=10
job-worker-count=15
single-instance=
✅ 여기서 중요한 건 job-worker-count
값입니다.
job-worker-count = 쓰레드 수 - 1
자신의 CPU 쓰레드 수를 기준으로 -1 값을 적용하세요. 예를 들어:
- i5-12400 = 총 12 쓰레드 →
job-worker-count=11
으로 설정 - 라이젠 5600X = 12 쓰레드 →
job-worker-count=11
- i7-13700K = 24 쓰레드 →
job-worker-count=23
이렇게 설정하면 렌더링 작업자 수가 시스템 자원을 적절히 사용하도록 조정돼 성능이 훨씬 안정적이에요.
✅i5-12400 기준 추천 설정 예시
gfx-enable-gfx-jobs=1
gfx-enable-native-gfx-jobs=1
max-chunks-per-shader=2
wait-for-native-debugger=0
hdr-display-enabled=0
gc-max-time-slice=3
single-instance=
job-worker-count=11
저는 이 설정으로 전투 중 렉이 현저히 줄었고, 채광이나 제작 등 반복 작업 시에도 체감이 꽤 됐어요. 특히 도시나 채널이 붐비는 구역에서 프레임 유지력이 훨씬 나아졌습니다.
주의할 점
- 설정 후 반드시 게임을 완전히 재실행해야 적용됩니다.
Boot.config
백업은 꼭 해두세요. 잘못 건드리면 실행 자체가 안 될 수도 있어요.- 패치 후 설정이 초기화될 수 있으니, 그때마다 다시 적용해줘야 합니다.
마비노기모바일은 모바일 기반 게임이다 보니, PC에서의 최적화는 사용자가 직접 손봐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Boot.config 설정만 잘 만져줘도 확실히 렉과 끊김 현상이 줄어들어요.
저도 처음엔 ‘이게 효과가 있나?’ 했는데, 실제로 해보고 나니 전투나 제작 루틴 돌릴 때 스트레스가 훨씬 줄었습니다. 여러분도 꼭 한 번 적용해보시길! ^^
'마비노기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비노기모바일 파티 심층 매치 안 될 때 해결 방법 (0) | 2025.04.06 |
---|---|
마비노기모바일 과금 효율 최적화 방법 꿀팁 정리! (0) | 2025.04.06 |
마비노기모바일 1만 생활력 올리기 가이드 여기서 정리! (0) | 2025.04.06 |
마비노기모바일 광석 말고 돌멩이만 캐고 싶을 때 노하우 (0) | 2025.04.06 |
마비노기모바일 던전레벨 확인하는 방법, 던전레벨표 공유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