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비노기모바일은 진짜 재밌긴 한데, 프레임드랍 때문에 정내미 떨어지는 순간 많았지. 그런데 커뮤니티에서 공유된 Boot.config 설정 복붙해서 쓰는 사람들 보면, 의외로 고사양 PC 사용자들은 손해 보는 경우가 많더라.
그게 왜 그러냐면, 해당 최적화 코드는 램 16GB 기준으로 짜여져 있음. 램 32GB 이상 쓰는 사람한텐 오히려 제 성능 못 뽑는 상황도 생긴다는 거지.
그래서 내가 찾은 해답은 GPT로 내 사양에 맞는 최적화 코드를 직접 받는 법. 이거 하나면 진짜 프레임 고정 + 렉 거의 안 느낌. 아래 순서대로 따라만 하면 끝임. 자세한 내용 본문에서 시작해보겠음.
목차
마비노기모바일 맞춤 최적화 설정
1. GPT 켜기
딱히 설명할 거 없음. 그냥 GPT 열고 들어가면 됨.
2. 사양 알려주고 질문 입력하기
아래 예시처럼 GPT에게 내 컴퓨터 사양이랑 Unity 버전을 알려줘. 그리고 이 설정이 어떤 구조인지, 예시까지 복붙해주는 게 핵심임.
나의 컴퓨터 사양이야
CPU : AMD Ryzen 7 7800X3D 8-core processor (16CPU), 4.2GHz
GPU : NVIDIA GeForce RTX 4070 Ti SUPER 16Gb
RAM : 32768MB
유니티 버전은 2021.3.40f1 이야
이 사양에 맞춰 유니티 기반 프로그램 최적화 config 파일 짜줄 수 있어? 예시는 아래야:
gfx-enable-gfx-jobs=1
gfx-enable-native-gfx-jobs=1
...
(이하 전체 코드 붙여넣기)
GPT가 이걸 기반으로 너 사양 맞춤 코드 뽑아줌.

3. 코드 파일로 저장시키기
GPT가 코드 다 뽑아주면, 이렇게 말하면 됨:
고마워. 해당 코드를 .config 확장자 파일로 저장해줘
그러면 다운로드 가능한 형식으로 주고, 이걸 저장하면 됨.
4. 파일 이름 변경 & 적용
GPT가 파일 이름 대충 "MyBootConfig.config" 같은 걸로 줄 텐데, 이걸 boot.config
로 이름 변경하고
마비노기 모바일 설치 폴더 → MabinogiMobile_Data 폴더 안에 붙여넣기.
※ 기존 파일 백업은 무조건 하자. 불안하면 복사본이라도 하나 두셈.
5. 게임 재실행하기
이제 게임 껐다가 다시 키면 됨. 똑같은 마비노기 맞나 싶을 정도로 부드러워질 수도 있음 ㄹㅇㅋㅋ
추가 최적화 코드 설명 (고사양 유저 필독)
GPT 코드에 살짝 손보면 더 좋음. 특히 나처럼 32GB 이상 메모리에 고성능 CPU면 아래 4가지는 꼭 적용 추천.
- 백그라운드 상태에서도 프레임 유지:
player-run-while-out-of-focus=1
추가 - GC 타이밍 조정:
gc-max-time-slice=1
로 변경
✅ 아래 항목 수치만 두 배로 바꿔주면 됨. 이건 메모리 널널한 고사양에서 프레임 안정화에 진짜 효과 있음.
memorysetup-main-allocator-block-size=67108864
memorysetup-thread-allocator-block-size=33554432
memorysetup-gfx-main-allocator-block-size=67108864
memorysetup-gfx-thread-allocator-block-size=67108864
memorysetup-profiler-allocator-block-size=67108864
✅프레임 제한 설정도 주의해야 함
targetFrameRate=180
이거도 마지막에 추가하면 됨. 너무 무제한이면 발열, 과도한 전력 소모 있음.
최종 코드 전체
gfx-enable-gfx-jobs=1
gfx-enable-native-gfx-jobs=1
max-chunks-per-shader=4
wait-for-native-debugger=0
vr-enabled=0
hdr-display-enabled=0
job-worker-count=15
gc-max-time-slice=1
androidStartInFullscreen=1
androidRenderOutsideSafeArea=1
adaptive-performance-samsung-boost-launch=1
player-run-while-out-of-focus=1
targetFrameRate=180
memorysetup-bucket-allocator-granularity=16
memorysetup-bucket-allocator-bucket-count=8
memorysetup-bucket-allocator-block-size=4194304
memorysetup-bucket-allocator-block-count=1
memorysetup-main-allocator-block-size=67108864
memorysetup-thread-allocator-block-size=33554432
memorysetup-gfx-main-allocator-block-size=67108864
memorysetup-gfx-thread-allocator-block-size=67108864
memorysetup-cache-allocator-block-size=4194304
memorysetup-typetree-allocator-block-size=2097152
memorysetup-profiler-bucket-allocator-granularity=16
memorysetup-profiler-bucket-allocator-bucket-count=8
memorysetup-profiler-bucket-allocator-block-size=4194304
memorysetup-profiler-bucket-allocator-block-count=1
memorysetup-profiler-allocator-block-size=67108864
memorysetup-profiler-editor-allocator-block-size=1048576
memorysetup-job-temp-allocator-block-size=67108864
memorysetup-job-temp-allocator-block-size-background=2097152
memorysetup-job-temp-allocator-reduction-small-platforms=262144
memorysetup-allocator-temp-initial-block-size-main=524288
memorysetup-allocator-temp-initial-block-size-worker=524288
memorysetup-temp-allocator-size-main=16777216
memorysetup-temp-allocator-size-preload-manager=1048576
memorysetup-temp-allocator-size-background-worker=65536
memorysetup-temp-allocator-size-job-worker=524288
memorysetup-temp-allocator-size-nav-mesh-worker=131072
memorysetup-temp-allocator-size-audio-worker=131072
memorysetup-temp-allocator-size-cloud-worker=65536
memorysetup-temp-allocator-size-gfx=524288
결론
GPT로 사양에 맞게 최적화만 잘 하면, 프레임 체감 진짜 확 올라감. 커뮤니티 복붙 코드도 좋긴 한데, 고사양 유저는 맞춤 설정이 훨씬 효과 큼. 개인적으로 이거 적용하고 나서 UI 튕김, NPC 대화 시 프레임드랍, 알트탭 시 느려지는 현상 거의 사라짐. GPT 안 써봤으면 이번 기회에 꼭 활용해보셈. 이건 진짜 마비노기모바일이 아니라 마비노기2급 체험임ㅋㅋ 끝!
마비노기모바일GPT로 내 사양에 맞는 최적화하기 FAQ
Q. GPT는 어디서 어떻게 사용하나요?
OpenAI 공식 사이트에서 ChatGPT 접속 후, 무료 또는 유료 플랜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GPT-4가 최적이지만 무료 버전으로도 충분히 설정 코드를 받을 수 있어요.
Q. GPT가 생성한 코드는 안전한가요?
네, GPT는 사용자가 제공한 사양과 Unity 버전을 기반으로 논리적으로 구성된 설정 코드를 제공하므로, 원본 백업만 해두면 안전하게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Q. GPT 없이도 이 설정 그대로 써도 되나요?
가능은 하지만, 본인 사양과 맞지 않으면 오히려 퍼포먼스가 떨어질 수 있어요. 최소한 CPU 쓰레드 수 정도는 맞춰서 job-worker-count 설정하세요.
'마비노기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비노기모바일 보관함 찾는 방법 여기서 정리! (0) | 2025.04.06 |
---|---|
마비노기모바일 무료가방 필요할 때 해결방법 (0) | 2025.04.06 |
마비노기모바일 컴퓨터 프레임드랍 해결방법 여기서 정리! (0) | 2025.04.06 |
마비노기모바일 챠키 못 찾을때 방법 정리 (0) | 2025.04.06 |
마비노기모바일 은동전 주는 고양이집 퀘스트, 고양이집 위치 여기서 정리 (0) | 2025.04.06 |